▶ 세팅 환경
OS: Amazon Linux 2
PHP: PHP 8.1
Laravel Framework 8.83
DBMS: Amazon RDS - MySQL 5.7
Software: MySQL Workbench 8.0 CE
IDE: VSCode 1.77
Terminal: Windows PowerShell 1.16
* 아래 설정 방법은 DB 및 MySQL 설정을 모두 완료한 이후에 진행되는 과정입니다.
▶ 설정 방법
1. 라라벨 프로젝트 폴더 바로 아래의 .env 파일을 열어서 DB 항목을 찾아 본인 환경에 맞게 수정합니다.
DB_HOST: DB 서버의 호스트(IP 또는 DNS), 만약 Amazon RDS를 사용 중이라면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앤드포인트 값 입력
DB_PORT: 3306은 mysql의 기본 포트번호이며, 만약 다르게 설정했다면 수정
DB_DATABASE: 연결할 데이터베이스명
DB_USERNAME: mysql 연결할 계정 아이디
DB_PASSWORD: mysql 연결할 계정 패스워드
* 저는 Amazon RDS를 사용해서 마스터 권한으로 접근하기 위해 DB_USERNAME, DB_PASSWORD에 마스터 계정 정보를 입력해줬습니다.
2. 라라벨 프로젝트 폴더에서 "config > database.php" 파일에서 mysql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본인 환경에 맞게 수정합니다.
host, port(선택), database, username, password 항목을 수정합니다.
* 입력해야 하는 내용은 위와 동일
3. 터미널 창에서 DB 마이그레이션 파일을 생성합니다. (테이블을 추가하는 과정)
[라라벨 프로젝트 폴더 경로] $ php artisan make:migration create_[테이블명]_table
ex) 만약 "test_table"이라는 테이블을 생성하려고 한다면
위처럼 명령어를 입력하고서 정상적으로 실행된다면 "Created Migration"이라는 문구와 함께 생성된 마이그레이션 파일명을 표시해줍니다.
4. 라라벨 프로젝트 폴더 아래의 "database > migrations" 경로로 이동해서 생성된 마이그레이션 파일을 확인합니다.
5. 생성 시 필요한 필드나 조건을 create 스키마에 정의해줍니다.
* 필드를 어떻게 설정하는지 모르겠다면 아래의 사이트에서 "컬럼 생성하기" 항목에서 참고할 수 있습니다.
https://laravel.kr/docs/8.x/migrations
라라벨 8.x - 마이그레이션
라라벨 한글 메뉴얼 8.x - 마이그레이션
laravel.kr
6. 터미널에서 마이그레이션을 실행합니다.
[라라벨 프로젝트 폴더 경로] $ php artisan migrate
7. 방금 설정한 테이블이 제대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created_at, updated_at 필드는 마이그레이션 설정 파일에서 "$table->timestamps();" 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라라벨의 기본적인 테이블 필드와 같습니다.
- 문의와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 .̫ •́ )✧ -
'웹 Back-End >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ravel] Database connection [] not configured. -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오류 (0) | 2023.05.03 |
---|---|
[Linux][Laravel] php artisan migrate 실행 시 "SQLSTATE[HY000] [2002] Connection timed out" 오류 (0) | 2023.04.23 |
[Laravel] 파비콘(favicon:웹페이지 아이콘) 만들고 등록하기 (0) | 2023.04.12 |
[PHP] print_r() 함수 (0) | 2022.01.06 |
[PHP] ob_start() 함수 (출력 버퍼링) (0) | 202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