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WS 계정의 종류 AWS 콘솔에 로그인하려고 이동해보면 위 이미지처럼 두 가지의 방법으로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루트 사용자는 말 그대로 Root, 관리자 권한을 모두 가진 슈퍼 계정이며 보통 맨 처음 서버를 만든 계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IAM 사용자는 루트 사용자가 부여하는 일부분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이며, 서버 설정 중에서 특정 부분만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입니다. 여러 명이서 서버를 관리한다면 IAM 계정을 추가해서 각자에 역할에 맞는 권한만을 추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IAM 사용자 추가하는 방법 1) AWS 콘솔에 로그인해서 위 검색창에 'IAM'을 검색해서 클릭합니다 2)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사용자" 메뉴를 클릭합니다. 3) "사용자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4..
1. RDS란? MySQL, MariaDB, PostgreSQL 등의 엔진을 이용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Relational Database Service)입니다. 2. 특징 프리티어 템플릿을 사용한다면 RDS 인스턴스 1개를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월별 750시간 무료이며, 인스턴스 2개를 사용할 경우 각각의 시간을 계산하여 합침 == 동시에 가동할 경우 월별 375시간 무료) RDS 설정에 따라서 프리티어 템플릿이어도 요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잘 확인하고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성자 경험...) 20GB의 범용(SSD) DB 스토리지를 제공합니다. (용량 초과 시 과금) 요금 관련 내용: https://aws.amazon.com/ko/rds/pricing/ 아래 이미지에 주요 내용을 밑..
▶ 세팅 환경 AWS EC2 Amazon RDS ▶ 설정 방법 1. AWS 사이트에 접속해서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 > RDS"를 클릭합니다. 2. "데이터베이스"탭에서 해당 DB 항목을 클릭 후, "연결 & 보안" 탭의 "VPC 보안 그룹"을 클릭합니다. 3. 해당 보안 그룹을 클릭합니다. 4. "인바운드 규칙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5. 규칙을 설정합니다. [MySQL Workbench 등 외부 소프트웨어에서 접근이 필요할 때] 5 - 1. "규칙 추가" 버튼 클릭 후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서 "규칙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유형: MYSQL/Aurora * 소스: 내 IP(= 접근할 컴퓨터의 IP) [터미널 등 AWS EC2 인스턴스 서버로부터 접근이 필요할 때] 5 - 2. "규칙 추가"..
▶ 세팅 환경 Server: AWS EC2 OS: Amazon Linux 2 DBMS: MySQL * 아래 과정은 AWS EC2 생성 및 기본 설정 이후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 설정 방법 1. AWS 사이트에 접속한 후,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 > RDS"를 클릭합니다. 2. 대시보드 메뉴에서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원하는 설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 만약 참고가 필요하다면 아래의 더보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더보기 3 - 1.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식 선택에서 "표준 생성"을 선택하고, 엔진 옵션에서 "MySQL"를 선택합니다. 3 - 2. 템플릿에서 "프리티어"를 선택합니다. 3 - 3. [건너뛰기] 가용성 및 내구성 3 - 4. 설정에서 DB 인스턴스 식별자 및 ..
▶ 세팅 환경 Server: AWS EC2 ▶ 설정 방법 1. AWS 사이트에 접속해서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 > RDS"를 클릭합니다. 2. "데이터베이스"탭에서 해당 DB 항목을 클릭 후, "연결 & 보안" 탭의 "VPC 보안 그룹"을 클릭합니다. 3. 해당 보안 그룹을 클릭합니다. 4. "인바운드 규칙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5. "규칙 추가" 버튼 클릭 후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서 "규칙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유형: MYSQL/Aurora * 소스: 내 IP(= 접근할 컴퓨터의 IP) 6. MySQL Workbench에서 "Test Connection" 버튼을 통해 다시 연결을 확인합니다. - 문의와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 .̫ •́ )✧ -
▶ 세팅 환경 Server : AWS EC2 User : ec2-user * 연결 전, AWS 키 파일(.pem 또는 .ppk)이 필요합니다. ▶ 설정 방법 1. 파일질라에서 "편집 >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2. SFTP 메뉴에 "키 파일 추가" 버튼을 통해 키 파일(.pem 또는 .ppk) 파일을 추가합니다. 3. "파일 > 사이트 관리자" 메뉴로 들어갑니다. 4. 사이트 정보를 설정합니다. 프로토콜 : SFTP 호스트 : AWS 정보에서 Public IP 값 로그온 유형 : 일반 사용자 : 서버 계정(ex. ec2-user) 비밀번호 : 입력하지 않음 5. 설정 완료 - 문의와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 .̫ •́ )✧ -
▶ 세팅환경 OS: Windows 11 AWS OS: Linux 터미널: Windows 터미널(Windows PowerShell) ▶ 준비물 AWS EC2 프라이빗 키 파일(.pem) * 해당 파일은 처음 발급받으면 다시 재발급이 안되므로 따로 잘 저장해둡시다! * PuTTY를 위한 .ppk도 되는지는 안해봐서 잘 모르겠음.. ▶ 설정 방법 1. 다운받은 프라이빗 키 파일(.pem)을 아래의 경로로 이동시킵니다 C:\Users\[사용자명]\.ssh 2. 해당 경로에 "config"(확장자 없음) 파일이 없으면 메모장이나 텍스트 작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파일을 추가합니다 3. config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Host [호스트명(닉네임)] HostName [호스트 IP 또는 DNS] User [인..
▶ 설정 방법 1. "우측 상단 프로필 > 결제 대시보드 > 기본 설정 > 청구서 설정"을 클릭하여 "결제 알림 받기"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체크되어 있지 않으면 체크 후 아래 "기본 설정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2. 해당 내용 중 "결제 알림 관리"를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3. 이동한 페이지의 왼쪽 메뉴 중 "경보 > 결제" 메뉴로 이동한다 3-1. 최초 생성인 경우 목록에 있는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지표를 설정한다 3-2. n차 생성인 경우 상단의 "경보 생성" 버튼 클릭 > "지표 선택" 클릭 후 "찾아보기"에서 원하는 지표를 체크한 후 우측 아래에 "지표 선택" 버튼을 클릭한다(ex. 결제 > 서비스별 > AmazoneEC2) 4. 조건에서 정적 / 보다 큼 / 0으로 설정 ..
▶ 사용 목적 인스턴스를 중지했다가 다시 실행해보면 퍼블릭 IP 주소가 계속해서 바뀌는데, 이러면 터미널이나 IDE에서 서버에 접근할 때마다 주소를 바꿔서 접속해야 해서 이를 방지하고자 IP를 고정시킴 ▶ 설정 방법 1. 왼쪽 메뉴 중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 메뉴 클릭 후 우측 상단의 "탄력적 IP 주소 할당"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처음 표시되는 그대로 두고 아래에 "할당" 버튼을 클릭합니다 더보기 ap-northeast-2: (동북아시아 2번째 리전)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리전이라는데 아직까지는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겠다 3. 탄력적 IP 주소 리스트로 돌아와서 방금 추가한 항목을 체크한 후, 우측 상단의 "작업"을 클릭하여 "탄력적 IP 주소 연결"을 클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