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DS란?
MySQL, MariaDB, PostgreSQL 등의 엔진을 이용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Relational Database Service)입니다.
2. 특징
- 프리티어 템플릿을 사용한다면 RDS 인스턴스 1개를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월별 750시간 무료이며, 인스턴스 2개를 사용할 경우 각각의 시간을 계산하여 합침 == 동시에 가동할 경우 월별 375시간 무료) - RDS 설정에 따라서 프리티어 템플릿이어도 요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잘 확인하고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성자 경험...)
- 20GB의 범용(SSD) DB 스토리지를 제공합니다. (용량 초과 시 과금)
- 요금 관련 내용: https://aws.amazon.com/ko/rds/pricing/
아래 이미지에 주요 내용을 밑줄 쳐놓긴 했지만, 각자 개발하려는 환경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불필요한 과금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읽어보는 것이 역시 좋습니다..ㅎㅎ
3. 과금을 피하기 위해 꼭 설정해야 하는 항목
* 아래에서 적용하는 내용은 실제 서비스 하려는 환경보다는 공부나 테스트를 위해서 사용하려는 환경에 더 적합합니다.
1) 템플릿을 프리 티어로 선택합니다. (무료로 사용하려면 필수)
2) 인스턴스 구성에서 "버스터블 클래스(t 클래스 포함)"에서 "db.t2.micro"를 선택합니다.
* t2와 t3 차이: t2는 버스트가 기본적으로 꺼진 클래스이고 t3는 버스트가 기본적으로 켜진 클래스입니다.
버스트란 기준 수준의 CPU 성능과 함께 기준 수준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하며,
이는 다시 말하면 버스트가 가능한 클래스는 기준 이상으로 성능이 필요할 경우
유연하게 추가로 사용하며 이에 따라 비용이 추가된다는 뜻입니다.
다른 클래스는 어떤 기능을 하는지 좀 더 공부해서 선택하면 더욱 좋겠지만
기본값으로 설정된 t2나 t3를 선택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 위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
https://docs.aws.amazon.com/AmazonRDS/latest/UserGuide/Concepts.DBInstanceClass.html
* 인스턴스 구성 항목에서 "DB 인스턴스 클래스" 옆에 푸른색 "정보"를 클릭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3) 스토리지에서 유형은 "범용 SSD(gp2)", 할당된 스토리지를 "20"GiB로 설정하고, 스토리지 자동 조정 활성화 체크를 해제합니다.
4) 가용성 및 내구성에서 "대기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마세요."를 체크합니다.
5) 아래로 끝까지 내려서 "추가 구성"을 클릭하여 백업 항목에 "자동 백업을 활성화합니다." 체크를 해제합니다.
6) "추가 구성"에 유지 관리 항목에서 "마이너 버전 자동 업그레이드 사용" 체크를 해제합니다.
- 문의와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 .̫ •́ )✧ -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콘솔 보안 설정하기 - a.k.a. OTP 설정 (with. MFA 추가, IAM 계정) (0) | 2023.05.08 |
---|---|
[Amazon RDS] 인바운드 설정(접근 IP 설정) (0) | 2023.04.21 |
[AWS][Linux] AWS EC2 - RDS(MySQL) 연동하기 (0) | 2023.04.19 |
[AWS][RDS] MySQL Workbench에서 AWS 데이터베이스가 연결되지 않을 때 | RDS 인바운드 설정 방법 (0) | 2023.04.17 |
[AWS] 파일질라에서 AWS 서버 연결하기 (0) | 2023.04.01 |